국토교통부는 10일 부산시 사하구 괴정동에서 부산지역 첫 자율주택정비사업을 준공했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주거지지원형 도시재생뉴딜사업을 추진 중인 괴정동 사업지에 인접한 노후 단독주택 소유자 2명(총3개 필지)이 주민합의체를 구성해 기존 주택(2호)을 철거하고, 다세대주택(12호)을 신축하는 방식으로 추진됐다. 지난해 5월 주민합의체가 구성된 이후 약 1년여 만에 사업이 완료됐다. 이 과정에서 주택도시보증공사(HUG)는 총사업비 13억5000만 원의 70% 수준인 9억4000만원 원을 연 1.5% 저리 융자로 지원했다. 한국감정원는 사업성 분석비용 지원, 사업시행인가·이주·준공 등과 관련한 행정절차를 원스톱 서비스로 제공했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인근 공공임대주택 수요를 맞추고, 민간의 미분양 위험을 줄이기 위해 신축된 다세대주택 전량(12호)을 매입하는 약정을 체결했다. 국토부는 신축된 다세대주택 12호가 공공임대주택으로 공급돼 주거복지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했다. 자율주택정비사업은 2명 이상의 주택 소유자(단독은 10호 미만, 다세대 주택은 20세대 미만)가 주민합의체를 구성해 스스로 주택을 개량하거나 신축하는 소규모 주택정비사업으로 2018년 도입 이후, 현재까지 전국적으로 97곳의 주민합의체가 구성됐다. 그중 27곳이 착공, 11곳이 준공되는 등 점차 활성화되고 있다. 준공 사업지 11곳(부산 준공사업지 포함)은 도시재생뉴딜사업지 내 3곳과 인근 8곳에서 연계·추진돼 노후 주거지 재생 효과를 지역 주민들이 체감할 수 있다. 이지혜 국토부 주거재생과장은 “노후 주거지의 재생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자율주택정비사업이 활성화돼야 한다”면서 “국토부는 자율주택정비사업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며 자율주택정비를 통해 주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주거지 재생을 지속해서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