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도별 내진율 및 내진보강대책 추진 현황/자료=행정안전부]
행정안전부는 2019년도 내진보강대책 추진 결과 공공건축물, 도로 등 기존 공공시설물 18만 8,880개소 중 12만 6,994개소에 대한 내진 성능이 갖춰져 내진율 67.2%를 확보했다고 29일 밝혔다.
내진보강대책은 기관별로 기존 공공시설물 내진보강 기본계획에 따라 소관 시설물에 대한 내진성능 향상을 위해 매년 수립·추진하는 계획이다.
기존 공공시설물 내진율은 1단계 내진보강 기본계획이 수립된 2011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포항지진 이후 지난 5년 평균과 비교해 예산투자가 지속 증가했고, 내진 성능 확보 건수가 늘어나 내진율이 급격히 높아졌다.
[내진성능 확보 건수 및 예산투자 금액/자료=행정안전부]
지난해 내진보강 추진현황에 따르면, 총 8,722억 원이 투입되어 20종 8,800개소에 대한 내진 성능을 확보했다.
시설물별 현황은 공공건축물, 학교시설, 도로시설 순으로 내진 성능을 확보했고, 학교시설, 공공건축물, 도로시설 순으로 예산이 투자됐다.
2019년 말 기준, 전체 33종 시설물 중 고속철도, 다목적댐, 원자로 및 관계시설 등 총 6종 시설은 내진율 100%를 달성했고, 도시철도, 전력시설 등 10종의 시설은 내진율 80% 이상을 확보했다.
행안부는 올해로 ‘2단계 기존 공공시설물 내진보강 기본계획’ 추진 기간이 종료돼 현재까지 진행된 내진보강 사업 결과를 토대로 ‘3단계 기본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3단계 기본계획에서는 내진율 저조 시설물·중요도·노후도·규모 등을 고려해 시설물별 내진보강 우선순위를 정하고, 시설물 내 핵심시설물을 지정해 내진율을 집중 관리한다는 방침이다.
행안부 관계자는 “2017년 이후 공공시설물 내진보강사업 투자 규모가 지속 증가하고 있다.”라며, “내진보강 기본계획에 따라 내실 있는 내진보강사업이 이루어지도록 내진성능평가 및 내진보강공사를 지속 추진하겠다.”라고 말했다.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