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역학조사 지원 시스템/자료=국토교통부]
코로나19 확진 환자의 이동경로 분석을 10분 이내로 단축할 수 있는 ‘코로나19 역학조사 지원시스템’이 가동된다.
국토교통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질병관리본부는 ‘코로나19 역학조사 지원시스템’을 오는 26일부터 정식 운영한다고 25일 밝혔다.
코로나19 역학조사 지원시스템은 감염병예방법에 따른 역학조사 절차를 자동화하는 시스템으로, 대규모 도시데이터를 수집·처리하는 스마트시티 연구개발 기술을 활용한 시스템이다.
해당 시스템은 지난 16일 시범운영을 시작해 시스템 운영체계 및 개인정보 관리 절차 등을 보완했다. 오는 26일부터 국토부에서 질병관리본부로 시스템을 이관하고 경찰청, 여신금융협회, 3개 통신사, 22개 신용카드사 간 협력체계를 구성해 본격 운영된다.
이 시스템을 통해 확진자 면접조사 결과를 보완, 빅데이터의 실시간 분석이 가능해진다. 확진자 이동동선과 시간대별 체류지점을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고, 대규모 발병지역(핫스팟)을 분석해 지역 내 감염원 파악 등 다양한 통계분석도 가능해진다.
정보수집·분석 시 질병관리본부를 지원하는 28개 기관 간 공문 작성 및 유선연락 등의 과정이 대부분 수작업으로 이뤄져 왔던 기존 방법에서 스마트시티 기술 시스템으로 전환함에 따라 정보 취득의 신속성과 정확성을 확보하게 됐다.
특히 코로나19 상황 초기에 평균 하루 이상이 소요됐던 이동동선 도출 등 역학조사 분석 시간이 10분 이내로 줄어들어 역학조사관의 업무 부담을 경감하고, 대규모 확진자가 발생하는 경우 민첩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됐다.
대규모 발병지역(핫 스폿)을 분석해 지역 내 감염원 파악 등 다양한 통계분석도 가능해진다고 국토부는 덧붙였다.
시스템은 필수 최소인원에 한해서만 허용하고 담당자 역할에 따라 권한을 엄격히 구분했다. 정보 열람과 분석은 질병관리본부와 지자체 역학조사관만 가능하며, 다른 정부기관은 일체 접속 및 활용이 불가능하다.
해킹 등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의 접근이 어렵도록 전용망으로 운영되며, 2중 방화벽과 로그인 관리 등 전산보안 기술도 적용됐다.
시스템은 감염병 위기대응 단계를 고려하여 한시적으로 운영되며, 코로나19 상황이 종료되는 즉시 개인정보는 파기할 예정이다.
국토부·과기정통부·질병관리본부는 해당 시스템을 이번 코로나19 대응에 적용·지원하면서, 앞으로 감염병 역학조사 지원을 위한 협업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스마트시티 #코로나19 #확진자 #빅데이터 #대규모발병지역 #동선파악 #통계분석 #역학조사
kgt0404@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 |